영화 '생일' 제작보고회 / 사진: 조선일보 일본어판 이대덕 기자, pr.chosunjns@gmail.com


아직 개봉하기 전이지만, 여러 의미로 화제작인 작품이 있다. 지난 2014년 있었던 '세월호 참사'를 주제로 한 영화 <생일>의 이야기다. 특히 전도연, 설경구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기파 배우들이 합류해 작품에 대한 궁금증을 높였다. 두 사람은 왜, 지금, 영화 <생일>을 선택했을까.

6일 서울 강남구 CGV 압구정에서는 영화 <생일>의 제작보고회가 열려 연출을 맡은 이종언 감독을 비롯해 배우 설경구, 전도연, 그리고 아역 배우 김보민이 참석했다.

영화 <생일>은 2014년 4월 16일 세상을 떠난 아들 수호의 생일날이 되자, 아빠 정일(설경구)과 엄마 순남(전도연)을 비롯한 가족과 친구들이 함께 모여 서로가 간직했던 기억을 함께 나누며 특별한 순간을 선물하는 이야기를 담는다. 사랑하는 사람이 태어난 '생일', 그날 자체에 대한 이야기면서 동시에 단어 뜻 그대로 남아있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날'에 대한 의미이기도 하다.


영화 <생일>은 우리 곁을 떠난 아이들의 생일이 다가오면, 그 아이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두 모여서 아이를 기억하고 추억하는 생일 모임을 모티브로 한다. 해당 작품에서는 '생일하다'는 말로 그날의 기억을 잊지 않겠다는 다짐을 한다.

이종언 감독은 "그 일이 있고, 2015년 여름에 안산 봉사를 하러 갔다. 여러 단체가 유가족을 위로하는 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 중 '치유공간 이웃'이라는 곳이 있다. 그곳에서 아이들의 생일이 다가오면 힘들어하는 엄마들을 봤다. 그걸 보며 아이들의 생일을 같이 기억하고, 함께 하는 '생일 모임'을 했다. 그 모임을 도와주며 이번 작품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차라리 '허구'였으면 좋겠는 실화 사건을 담은 영화다. 이에 조심스러운 부분도 많았을 터. 이종언 감독은 "감정을 쓰고 표현을 하는 것에서 어떤 해석이 개입될까 고민을 많이 했다. 매 장면 고민을 한 것 같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을 때 유가족분들과 통화했던 날들이 생각난다. 많은 용기를 주셨다"고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극 중 설경구는 아들이 세상을 떠나던 날, 아버지의 자리를 지키지 못해 가족에 대한 미안함을 안고 살아가는 '정일' 역을 맡았다. 설경구는 "참사 당시 한국에 없던 아버지"라며 "수호의 생일이 다가오면서, 아들의 생일을 거부하는 순남을 설득해 같이 생일을 하게 된다"고 캐릭터를 소개했다.

세월호 참사. 누군가는 잊고 살아가겠지만, 어느 누군가에게는 여전히 잊지 못할 트라우마다. 배우들이 이번 작품에 참여한 이유가 궁금했다. 설경구는 "해야 할 것 같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영화를 촬영하고 있어서 처음에는 스케줄 조절이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시나리오를 읽고 나서는 고민을 많이 안 했다. 먼저 떠나보낸 아이를 둔 아버지를 연기하며 제가 느끼려고 노력했던 것, 이해하고 공감하려 했던 부분들이 관객에게 잘 전달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무거운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영화인만큼, 감정을 쏟는 장면이 많았다. 그 중 기억에 남는 장면이 있냐고 묻자 설경구는 "마지막 생일을 하는 장면이다. 상당히 긴 분량인데, 카메라를 세팅하고 한 신으로 찍었다. 한 장면을 그렇게 끝까지 찍어본 것이 처음이다. 긴 호흡으로 찍어서 전도연은 거의 탈진했고, 다음 날 다시 촬영을 했는데 그 신이 가장 강렬하고 기억에 남는다"고 전했다.


전도연이 연기하는 '순남'은 떠나간 아들에 대한 그리움을 안고 살아가는 엄마. 전도연은 자신이 맡은 역할에 대해 "아들의 부재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빈자리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채우고 외부와 단절된 생활을 한다. 정일이 등장하고, 가족들과 생일 모임을 가지면서 비로소 아들을 떠나보내게 된다"고 설명했다.

전도연은 <생일>의 시나리오를 받았을 때 부담을 느꼈다면서 "생각이 많아졌고, 고사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나리오를 읽고 난 뒤, 그런 부담감을 뛰어 넘었다. 살아가는 사람들, 앞으로 살아가야 할  사람들의 이야기라서 좋았고, 작품을 해야갰다는 생각이 들어서 선택하게 됐다"고 전했다.

시나리오를 읽으며 많은 눈물을 쏟았다고 밝힌 전도연은 "촬영을 할 때, 제가 그 슬픔을 감당해낼 수 있을까 겁도 나고 걱정을 했는데, 순남을 통해 함께 기억하고 슬픔을 나누는 것이 위안이 되고,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며 "시나리오를 읽고 <생일>에 제가 먼저 다가간 것 처럼, 관객 분들도 다가오셔서 응원을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배우들도 선택을 주저할 수밖에 없는 무거운 주제다. 게다가 해당 사건과 관련해 모든 의문이 풀린 것도 아니다. 이에 해당 영화가 나오는 것이 '시기상조'가 아니냐는 반응이 많다. 이종언 감독은 "굳이 아픈 이야기를 들춰내는 것이 실례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안산에 있으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매번 같은 이야기를 저에게 하시는 것을 보면서 우리가 주목하고,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이분들께 작지만, 위로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공감과 위로는 언제든 좋지 않을까"라고 설명했다.

영화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고를 직접 겪은 유가족들과의 협의는 무엇보다 중요했다. 이종언 감독은 "생일 모임을 하면서 영화를 만드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했고, 시나리오를 쓸 때는 그런 사실을 알렸다. 기꺼이 인터뷰를 해주신 분도 계시고, 일상을 함께 해준 분들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종언 감독은 유가족협의회를 찾아갔다며 "이런 것들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씀 드렸더니 '너무 조심스럽게 하지말아라'고 하셔서 힘을 얻었다. 편집본을 완성하기 전에 안산에 있는 극장에서 함께 시사했다. 그 때 들려주신 이야기를 토대로 최종 편집을 하게 됐다. 시사를 하며 '고맙다', '수고했다'는 말을 듣고 처음으로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종언 감독은 끝으로 "유가족들과 당사자, 여기 있는 우리들, 그 때 뉴스로 접한 사람들까지 평범한 모두가 상처를 입었다고 생각한다"며 "상처 입은 마음을 뒤로 넘겨 두고 있는데, 영화를 보시면서 아프고 마주하는 것이 힘들지만, 힘을 내고 따뜻하게 느끼셨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설경구 역시 "벌써 5주기가 다가온다. 많은 분들이 마음 속으로 깊숙이 슬퍼했고, 온 국민의 트라우마가 된 어마어마한 참사였다"며 "참사의 당사자는 온 국민이라고 생각한다. 저희 영화가 서로에게 작지만 위안을 주고, 위로가 됐으면 좋겠다. 기억하고, 잊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는 작은 물결의 시작이 됐으면 좋겠다"고 뜻을 모았다.

2014년 4월 이후, 남겨진 우리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생일>은 오는 4월 3일(수) 개봉할 예정이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