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대립군' 언론시사회에 참석한 정윤철 감독 / 사진 : 픽콘 DB


영화 업계가 거리로 나섰다.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인한 직격탄을 맞으며, 정부에 강력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국상영관협회를 비롯해 각 극장사,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수입배급사협회 등 영화단체 소속 영화인들은 21일 오전 10시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 모여 ‘영화업계 정부지원 호소 결의 대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위탁 극장을 운영하는 극장주와 영화관 상권에서 상가를 운영하는 지역 소상공인들도 참석했다.

이날 결의대회에서 영화인들은 ▲극장 영업시간 제한 즉시 해제 ▲코로나19 이후 영화 업계 전반의 피해액 산정 및 손실 보상 ▲정부 주도의 배급사 대상 개봉 지원 정책 추진 ▲임차료 및 세금 감면 혜택 등 무너져가고 있는 영화산업을 살리기 위한 정부의 재정 지원을 강력히 촉구했다.

한국상영관협회 이창무 회장은 “이번 방역 강화로 극장 운영시간을 제한한 것은 영화산업의 특성을 제대로 살피지 않은 탁상행정의 전형”이라며 “극장의 영업시간 제한으로 영화 개봉이 줄줄이 연기되고 극장 현장에서는 예약된 티켓의 대량 취소 사태가 발생하는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특히 “극장은 현재 모든 상영관이 백신패스관으로 운영되어 백신 미접종자는 아예 입장조차 허용되지 않고 자체적 띄어앉기, 음식물 섭취 금지 등 강화된 방역 조치를 시행 중”이라며 “어느 정도 안정성이 검증된 극장의 특수성을 감안해 지금 즉시 극장의 영업시간을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텅 비어있는 영화관 객석 / 사진 : 픽콘 DB


최근 ‘유체이탈자’를 극장에 개봉했던 장원석 BA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지난 2년간 우리 영화계는 엄청난 피해를 입어왔고, 그 중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은 영화산업 매출의 가장 큰 부분을 담당하는 극장으로, 마스크를 벗지 않고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극장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공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영화시장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극장이 무너지면 영화업계 전체가 무너진다는 심정으로 꾸준히 작품을 극장에 배급하고 있다”며 “일개 개인 제작자까지 영화업계의 생존을 위해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나서고 있는데 정부는 도대체 영화업계를 지탱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수입배급사협회장을 맡고 있는 정상진 엣나인 대표는 “영화산업은 극장을 중심으로 하나의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고, 극장에서 상영되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은 중소규모의 영화 제작사이고 배급사”라며 “극장을 지원하는 것이 대기업을 살리는 것이라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극장의 몰락으로 영화 제작 및 배급, 수입사 등 모든 영화업계 이해관계자들은 생존의 위기를 겪고 있다”며 “지금은 대기업이냐 아니냐를 놓고 따질 때가 아니라, 정부는 영화업계 전반의 목소리를 듣고 영화산업의 기본적인 생존권을 지켜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영화 '대립군' 등을 연출한 정윤철 영화감독은 “극장은 기업의 매출을 올리기 위한 영업점이기도 하지만 시민들의 문화 공간이자 지역 상권을 유지시키는 허브 역할을 하는 중요 거점으로, 극장이 무너지면 문화도 타격을 입을 뿐만 아니라 동네상권도 무너진다”며 “산소호흡기를 빨리 꼽아줘야 할 중환자임에도 불구하고 부잣집 아들이란 점에서 방치되고 있는 사망 직전의 극장에 정부는 구원의 손길을 내밀어줘야 한다”고 호소했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영화업계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지만 제대로 된 피해보상은 없었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2억 2천 6백만 명에 달했던 국내 관람객은 지난해 5천 9백만 명 수준으로 급감했고, 올해도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된다. 영화진흥위원회에서 발간한 '2021 한국영화연감'에 따르면 2020년 한국 영화시장 극장 매출액은 전년 대비 73.3%가 감소한 5104억 원을 기록했다. VOD 등 극장 외 시장의 경우도 극장보다는 감소폭이 작았지만, 역시 전년 대비 13.8%가 감소한 4392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